고린도 후서 5장 : 1-5
1 만일 땅에 있는 우리의 장막 집이 무너지면 하나님께서 지으신 집 곧 손으로 지은 것이 아니요 하늘에 있는 영원한 집이 우리에게 있는 줄 아느니라
2 참으로 우리가 여기 있어 탄식하며 하늘로부터 오는 우리 처소로 덧입기를 간절히 사모하노라
3 이렇게 입음은 우리가 벗은 자들로 발견되지 않으려 함이라
4 참으로 이 장막에 있는 우리가 짐진 것 같이 탄식하는 것은 벗고자 함이 아니요 오히려 덧입고자 함이니 죽을 것이 생명에 삼킨 바 되게 하려 함이라
5 곧 이것을 우리에게 이루게 하시고 보증으로 성령을 우리에게 주신 이는 하나님이시니라
2 Corinthians 5: 1-5
1 Now we know that if the earthly tent we live in is destroyed, we have a building from God, an eternal house in heaven, not built by human hands.
2 Meanwhile we groan, longing to be clothed with our heavenly dwelling,
3 because when we are clothed, we will not be found naked.
4 For while we are in this tent, we groan and are burdened, because we do not wish to be unclothed but to be clothed with our heavenly dwelling, so that what is mortal may be swallowed up by life.
5 Now it is God who has made us for this very purpose and has given us the Spirit as a deposit, guaranteeing what is to come.
---------------------------------------------
고린도 후서 5장 : 1-5
1 만일 땅에 있는 우리의 장막 집이 무너지면 하나님께서 지으신 집 곧 손으로 지은 것이 아니요 하늘에 있는 영원한 집이 우리에게 있는 줄 아느니라
1 Now we know that if the earthly tent we live in is destroyed, we have a building from God, an eternal house in heaven, not built by human hands.
‘장막집’ 은 천막직을 가리키는 말로 일시적인 집입니다. 이처럼 우리 인간의 육신도 영구하지 않고 일시적인 것입니다. 바울이 육체의 한계를 천막에 비유한 것은 그가 천막을 만드는 일을 했던 경험 때문일 것입니다. (행 18:3)
‘우리의 장막집이 무너지면’ 은 우리 육신이 죽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바울 당시에는 재림이 이른 시기에 있을 것이라 여겼기에 바울은 살아서 주의 재림을 경험하는 기대를 했을 것입니다. 최근에 아시아에서 죽음의 고비를 넘긴 바울은, 재림 전 죽을 수 있다는 것을 인지 했고 있었습습니다. 그러나 이보다는 주의 재림 이전에 복음으로 재림을 경험하지 못할 것을 염려하는 성도들에게 염려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려주려고 이 말을 했습니다.
우리의 육체가 없어지더라도 주께서 재림하실 때 성도들은 영원히 썩지 않을 부활의 몸으로 다시 태어 날 것입니다 (고전 15: 38-54). 성도를 위해 예비한 하늘에 있는 영원한 집에 거하게 될 것입니다.
2 참으로 우리가 여기 있어 탄식하며 하늘로부터 오는 우리 처소로 덧입기를 간절히 사모하노라
2 Meanwhile we groan, longing to be clothed with our heavenly dwelling,
이 탄식은 인간 존재의 한계성과 무기력에서 영원히 벗어나 자유를 얻는 것이며, 썩을 육체를 벗어나 영원한 영광스런 부활의 몸을 덧입게 되기를 소망하는 염원의 소리입니다. (롬 8:18-25).
바울은 살아서 부활의 영광에 들어가길 간절히 사모하기 바란다고 표현합니다.
3 이렇게 입음은 우리가 벗은 자들로 발견되지 않으려 함이라
3 because when we are clothed, we will not be found naked.
‘벗은 자’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있으나 가장 타당한 것은 죽은 후 재림을 기다리는 몸이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Barrett) 그 이유는 바울은 죽어서 몸이 없는 상태로 부활을 기다리기 보다는 살아서 주의 재림을 맞기를 원했기 때문입니다 (고전 15).
4 참으로 이 장막에 있는 우리가 짐진 것 같이 탄식하는 것은 벗고자 함이 아니요 오히려 덧입고자 함이니 죽을 것이 생명에 삼킨 바 되게 하려 함이라
4 For while we are in this tent, we groan and are burdened, because we do not wish to be unclothed but to be clothed with our heavenly dwelling, so that what is mortal may be swallowed up by life.
육체의 고통에서 벗어나는 것은 그 육체의 장막을 벗어버리면 가능합니다. 그러나 바울은 이 장막을 벗어버리는 방법이 아니라 하늘의 집을 덧입는 방식으로 벗어나길 소망합니다. 이는 죽지 않는 상태에서 바로 영적인 몸으로 바꾸어지길 바울이 소망했다는 것입니다 (고전 15:44, 51). 이 말을 죽은 성도의 부활을 부정하는 것으로 오해하지 말아야 됩니다. 죽은 자도 산자와 동일하게 부활에 참여할 수 있다고 바울은 말했습니다. (살전 4:15). 다만, 살아서 영화로운 몸을 입기를 더 원했을 뿐입니다.
바울이 육체를 가지고 부활에 참여하고자 하는 소망을 나타낸 이유가 있습니다. 영혼과 육신을 분리하고 어떤 육체적 부활도 부인하는 영지 주의자들을 반박하려는 의도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5 곧 이것을 우리에게 이루게 하시고 보증으로 성령을 우리에게 주신 이는 하나님이시니라
5 Now it is God who has made us for this very purpose and has given us the Spirit as a deposit, guaranteeing what is to come.
하나님께서는 성도들의 육체나, 죽은 자의 영혼이 부활의 몸으로 바뀌어지도록 준비해 주셨습니다. 이를 보증하기 위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성령을 보내주셨습니다.
‘보증’ [아르라보나]는 최종적인 지불을 보증하는 담보, 혹은 환납하지 않았으나 상품에 대한 권리를 인정받는 첫 할부금이나 보증금을 의미합니다.
성도들의 심령에 임재해 계시는 성령은 , 영적인 몸으로 썩을 육체를 대신해 영적인 몸으로 대체시켜주신다는 하나님 은혜의 보증이 되는 것입니다. 성령께서 성도들을 날마다 새롭게 하시고 (고후 3:18, 4:16, 엡 3:16), 말할 수 없는 탄식의 기도로 성도를 도우시고 (롬 8:26, 27) 참다운 보증이 되십니다.
'신약 > 고린도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린도후서 5장: 11-15 (0) | 2025.05.22 |
---|---|
고린도후서 5장: 6-10 (0) | 2025.05.21 |
고린도 후서 4장: 15-18 (0) | 2025.05.19 |
고린도후서 4장 : 11-14 (0) | 2025.05.17 |
고린도 후서 4장: 5-10 (0) | 2025.05.16 |
댓글